
Data Fetching Fetching = 가져오기 즉, Data Fetching은 데이터를 가져오는 작업을 말합니다. 왜 시작부터 Data Fetching인가? 화면에 무엇인가 그리려면 결국 어디선가 Data를 가져와야 합니다. 즉, 화면을 구성하기에 앞서 Data Fetching이 먼저다 !라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Next.js가 제시하는 3+1 가지 Data Fetching 방법 ▪️ SSR ▪️ CSR ▪️ SSG ▪️ ISR 1) SSR (Server Side Render) 서버가 그린다라는 의미로, 서버가 어디선가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서 그린다라는 의미 정도가 되겠습니다. Next.js에서 SSR을 담당하는 함수 : getServerSideProps 1 2 3 4 5 6 7 8 9 10 1..

Next.js 공식 홈페이지 Next.js by Vercel - The React Framework for the Web Used by some of the world's largest companies, Next.js enables you to create full-stack Web applications by extending the latest React features, and integrating powerful Rust-based JavaScript tooling for the fastest builds. nextjs.org 들어가보게 되면 웹을 위한 React 프레임워크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래 설명으로는 일부 세계 최대 기업에서 사용하는 Next.js를 사용하면 최신 React 기..

🛫 타입스크립트 type과 interface 타입스크립트에서 type과 interface는 모두 타입을 정의하는 데 사용되는 기능입니다. 🪐 type type은 새로운 타입을 정의할 때 사용됩니다. type은 기존 타입을 확장하거나 별칭을 만들 수 있으며, 유니온 타입, 인터섹션 타입, 제너릭 등의 고급 타입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 유니온 타입 예시 type MyType = string | number; const myVariable: MyType = "Hello"; const myNumber: MyType = 42; // 인터섹션 타입 예시 type Fi..

🦆 덕 타이핑과 구조적 타이핑 타입스크립트에서 "덕 타이핑"은 객체의 타입을 결정하는 데 객체가 필요로 하는 속성이나 메서드의 존재에 초점을 둔 타입 매칭 방식을 말합니다. 덕 타이핑은 "덕 테스트(duck test)"에서 유래되었는데, "오리처럼 걷고, 오리처럼 꽥꽥 소리를 내면, 그것은 오리다"라는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즉, 어떤 새가 오리로 태어났는지, 정말 오리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새가 오리처럼 보이고 오리처럼 행동하면 오리가 아닐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 덕 타이핑과 구조적 타이핑은 동일한 개념을 가리킨다 두 용어는 모두 객체의 타입을 결정할 때 구조와 필요한 속성의 존재에 초점을 둔 타입 매칭 방식을 의미합니다. 덕 타이핑이라는 용어는 덕 테스트로부터 유래된 것이며, 이를 좀..

🚀 JSP로 게시판 목록 조회 기능 구현 이번 글에서는 JSP로 리스트 목록을 조회하고 조회한 내용을 화면을 구성하는 것까지 해보려고 합니다 :) 지난 글에서 MyBatis 설정을 해놓았기 때문에 테이블을 만드는 것부터 해보겠습니다. 1. 테이블 만들기 crete table tbl_board ( board_id int unsigned auto_increment primary key, board_title varchar(500) not null, board_content varchar(500) not null, board_register_date datetime default current_timestamp(), board_update_date int unsigned default 0, board_read..

🚀 TDD란? TDD란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합니다. 반복 테스트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방법론으로, 엔지니어 켄트 벡(Kent Beck)에 의해 고안되었습니다. 작은 단위의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하고 이를 통과하는 코드를 추가하는 단계를 반복하여 구현합니다. 짧은 개발 주기의 반복에 의존하는 개발 프로세스이며 애자일 방법론 중 하나의 eXtream Programming(XP)의 'Test-First'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eXtream Programming(XP)란 ? 미래에 대한 예측을 최대한 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프로토타입을 완성하는 애자일 방법론 중 하나이다. 이 방법으로는 추가 요구사항이 생기더라도, 실시간으로 반영할 수 있다. +..
- Total
- Today
- Yesterday
- 리액트
- Python
- 리액트 훅
- testing
- react-query
- 프론트엔드 공부
- 파이썬
- 자바스크립트 기초
- CSS
- 딥러닝
- next.js
- 프론트엔드 기초
- 타입스크립트
- react
- rtl
- 프로젝트 회고
- HTML
- 인프런
- 자바
- 디프만
- styled-components
- 프론트엔드
- TypeScript
- 스타일 컴포넌트 styled-components
- JSP
- 머신러닝
- 자바스크립트
- frontend
- jest
- 데이터분석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