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rrays.fill() 이번에는 배열을 같은 값으로 채우는 fill()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rr.fill(value, start?, end?) 🚀 fill() 함수 배열의 start index부터 end index 전까지 value값으로 채워주는 함수입니다. 🚀 파라미터 value 배열에 채울 값을 지정합니다. start value 값을 채울 배열의 시작 index입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0입니다. end value 값을 채울 배열의 종료 index입니다.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값은 배열의 길이(arr.length)입니다. ➕ 리턴값 지정한 값으로 채워진 배열을 리턴합니다. 🚀 예제1 const arr1 = ['a', 'b', 'c', 'd']; arr1.fill('A'); // ..

🔎 ES6 이전의 데이터 타입 ES5까지 자바스크립트에서 가지고 있던 데이터타입은 Number, String, Boolean, undefined, null, object 정도였고 Symbol이란 데이터 타입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 ES6+의 데이터 타입 그러나 ES6+에서 Symbol과 BigInt라는 데이터 타입이 등장했습니다. 🔎 Symbol 심볼(Symbol) 데이터 타입은 원시 데이터 형의 일종으로 symbol() 함수는 심볼(symbol) 형식의 값을 반환하는데 반환되는 모든 심볼 값은 고유하다. 심볼은 주로 이름의 충돌 위험이 없는 유일한 객체의 프로퍼티 키(property key)를 만들기 위해 사용한다. ❓ 심볼 사용하기 const symbol = Symbol(); const hello..

▶자바스크립트 전개연산자(Spread Operator) 오늘은 전개 연산자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 전개 연산자(Spread Operator) ? 전개 연산자는 배열 또는 객체를 하나하나 넘기는 용도로 사용이 되는데요. 다음 예제 코드를 통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const arr = [1, 2, 3]; let test_arr1 = [4, 5, 6]; let test_arr2 = [4, 5, 6]; test_arr1.push(arr); console.log(test_arr1); // [ 4, 5, 6, [ 1, 2, 3 ] ] test_arr2.push(...arr); console.log(test_arr2); // [ 4, 5, 6, 1, 2, 3 ] push를 이용할 때 전개 연산자를 사용하..

▶자바스크립트 숫자를 문자로 변환하는 방법 1. toString() const num1 = 150; const str1 = num1.toString(); // '150' const str2 = (250).toString(); // '250' 2. String() const num1 = 133; const str1 = STring(num2); // '133' const str2 = String(122); // '122' 3. Template String(템플릿 문자열) const num1 = 55; const str1 = `${num1}`; // '55' 4. 빈 문자열 이어붙이기 const str1 = 123 + ''; console.log(str1); // '123'

▶배열의 맨 앞에 추가/삭제 - shift(), unshift() 🔎 shift : 배열 맨 앞의 값 삭제 / unshft(값) : 배열 맨 앞에 값 추가 📌 array.shift() → array배열의 맨 앞이 삭제 let array = ['a', 'b', 'c', 'd', 'e']; array.shift(); // 'a'를 리턴 console.log(array); // ['b', 'c', 'd', 'e'] 📌 array.unshift(item) → array배열의 맨 앞에 추가 let array = ['a', 'b', 'c', 'd', 'e']; array.unshift('hello'); // 6을 리턴 console.log(array); // ['hello', 'a', 'b', 'c', 'd', '..

▶제곱근과 제곱 구하기(Math.sqrt, Math.pow) 이번 글에서는 자바스크립트 내장 함수를 사용해서 제곱근과 제곱을 구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제곱근 구하기 - Math.sqrt( ) 함수 인자로 값을 넘겨주면 루트 값을 반환합니다. 만약 매개변수가 음수이면 NaN을 반환합니다. Math.sqrt(4); // 2 Math.sqrt(16); // 4 Math.sqrt(100); // 10 Math.sqrt(2); // 1.4142135623730951 Math.sqrt(0); // 0 Math.sqrt(-1); // NaN ❓ 어떤 수가 제곱수가 맞냐고 물어볼 때 어떤 수 n이 주어질 때 그 수가 제곱수(어떤 자연수를 제곱했을 때 나오는 정수)가 맞으면 1을 반환, 아니면 2를..
- Total
- Today
- Yesterday
- 딥러닝
- 자바스크립트 기초
- 자바스크립트
- 프론트엔드
- CSS
- HTML
- styled-components
- react
- 스타일 컴포넌트 styled-components
- 인프런
- testing
- 리액트
- 타입스크립트
- frontend
- 프론트엔드 공부
- TypeScript
- 머신러닝
- 리액트 훅
- rtl
- next.js
- 데이터분석
- 프로젝트 회고
- 프론트엔드 기초
- Python
- react-query
- jest
- 파이썬
- JSP
- 자바
- 디프만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